분류 전체보기 (77)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ec2 Ubuntu 18.04에서 apache2로 django 프로젝트 배포 1. 경로 확인하기 아래와 같은 경로를 가진 프로젝트가 있다고 생각하고 배포 과정을 정리하려고한다. - Folder Name : /home/ubuntu/Example - Project Name : ExampleProject - Project Path : /home/ubuntu/Example/ExampleProject - Application Name : ExampleApp - Application Path : /home/ubuntu/Example/ExampleProject/ExampleApp - 가상환경 폴더 경로 : /home/ubuntu/Example/venv_ex - wsgi.py 위치 : /home/ubuntu/Example/ExampleProject/wsgi.py 2. settings 파이썬 파.. Ubuntu git 설치 및 연결 - public, private 저장소 clone 먼저 설치되어있는 패키지들의 새로운 버전이 있는지 확인하고, 버전을 업그레이드 시켜준다. sudo apt-get update # 현재 사용 가능한 패키지와 버전 목록만 업데이트 sudo apt-get upgrade # 목록에 있는 패키지에 대해서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 깃 설치 sudo apt-get install git 깃 설치 확인 git --version SSH KEY 생성 cd ~/.ssh ssh-keygen -t rsa -C github계정 메일(example@github.com) .ssh폴더로 이동해서 keygen 명령어를 입력하면 키페어가 생성되고, id_rsa.pub 파일이 생성된다. cat id_rsa.pub id_rsa.pub를 출력하면 내 git 메일 계정으로 끝나는 ssh key가 출.. [neo4j] variables 변수 이해하기 cypher 쿼리에서 () 소괄호 [콜론 앞에] 오는 것은 변수이다. sally 는 name 과 age라는 속성과 각각 'Sally'와 32라는 값을 갖는 노드를 만들때 해당 노드를 지칭하는 변수이다. sally와 john은 노드의 이름(id같은거x)이 아니라 변수이다. cypher 쿼리에서 변수는 해당 쿼리 부분에서만 일시적으로 존재한다. Person이라는 label로 sally, john이라는 노드를 추가하고, Book이라는 label에 'Graph Databases'를 추가했다. 이때 형광펜으로 칠한 부분 - sally, john, gdb은 모두 이 쿼리 내에서만 존재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변수를 사용해서 위의 쿼리가 원하는 노드/관계 생성이 잘 이루어진 결과를 볼 수 있다. 변수를 해당 쿼리 밖에.. [neo4j] Cypher Query 튜토리얼 What is Cypher? Cypher란 MY SQL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되는 SQL처럼 Neo4j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사용되는 그래프 쿼리 언어이다. return 을 꼭 써주어야함. return 을 써주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Syntax Error가 난다. 예제 Match (m:Movie) where m.released > 2000 RETURN m limit 5 결과 2000이후에 발매된 영화 중 결과를 5개로 제한하여 보여준다. 1. 2005년 이후 발매된 영화를 검색하라. - Match (m:Movie) where m.released > 2005 RETURN m 2. 2005년 이후에 발매된 영화 수를 검색하라. Nodes and Relationships Nodes와 Relationships은 그.. [수리통계학] 적률과 MGF (적률생성함수) - mgf 왜 쓸까? 적률, 모멘트은 수학에서 함수의 모양을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합니다. 적률은 물리학에서도 쓰이고 통계학에서도 쓰인다고하는데요. 물리학에서 적률은 어떤 물리량과 거리의 곱을 나타낸다고합니다. 1차 적률은 질량이고, 2차적률은 질량중심이고 3차적률은 관성모멘트 이런식으로 쓰인다고합니다. 적률은 수학에서 적률이 먼저정의되고 후에 통계학,물리학에서 쓰이게 된 것이 아니라 물리학과 통계학에서 각각 적률에 상응하는 개념이 존재했고, 후에 수학에서 정의된 적률과 개념이 일치했다는 것 이 발견된 것 이라고 합니다. 수학에서 적률은 함수를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하며, 뮤 엔으로 표현하고 n은 적률의 차수 입니다. 일반적으로 별다른 언급이 없으면 c = 0을 의미합니다. 통계에서 함수는 pdf ,pmf이므로 위의 수학에서의 .. [수리통계학] 분할 / 전확률공식 / 베이즈 정리 1. 각각의 사건을 다 합하면 표본공간이 나오고 2. 각각이 다 배반사건일 때 이 집합들의 모임 {B1,B2,...,Bk}을 표본공간의 분할(partition)이라고 한다. 전확률 공식(law of total probability)은 조건부 확률로 부터 조건이 붙지 않은 확률을 계산할 때 쓸 수 있다. 전확률 공식은 {B1,B2,...,Bk}을 표본공간의 분할(partition)에서 내 관심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공식이다. 1. 각 조각의 비중을 구하고, P(Bn) 2. 각 조각에서 내 관심사인 A가 일어날 확률을 곱해서, P(A|Bn) 3. 모두 더한다. 베이즈 정리 (Bayes' theorem)은 어떤 정보 E가 들어왔을 때 사전확률을 update해서 사후 확률을 update하는 .. [수리통계학] 조건부 확률 / 독립 / 곱의 법칙 / 합의 법칙 조건부 확률은 한 사건이 일어났다는 전제 하에 다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말한다. 조건부 확률 공식에서 교집합의 확률을 구할 수 있다. 이때 두 확률이 독립이라면 조건부확률이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독립인 두 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은 두 확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mathematical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예제 2.21번 풀이 [수리통계학] 확률의 공리적 정의 / 조합 / 이항정리, 다항정리 공리라는 것은 수학적으로 증명을 하지 않기로 약속한 명제를 말한다. 확률을 공리적으로 정의한다는 것은 확률의 당연한 성질을 만족하는 것이 확률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다음 3가지 공리를 만족하는 P를 확률함수 (Probability function)라고 하며 P(A)를 사건(사상)에 대한 A의 확률(Probability)라고 한다. Axiom1 -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은 항상 0 이상 1 이하이다, Axiom2 - 표본공간 전체가 일어날 확률은 1이다. Axiom3 - 배반사건의 합의 확률은 각각의 확률의 합과 같다. 조합(Combination)은 서로 다른 n개의 원소 중 순서에 상관없이 r개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조합을 바라보는 관점은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way to choose ..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 목록 더보기